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심탈레브3

우리는 근본적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블랙스완) 이것은 역설이다. 예측 전문가들은 예기치 못한 발견이 몰고 올 급격한 변화를 내다보는 데 참담하게 실패할뿐더러 점증적 변화의 경우에는 오히려 변화의 폭을 실제보다 더 크게 잡는다.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경우에도 우리는 그 가치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한다. 하기는 IBM의 창립자 토머스 왓슨은 앞으로 필요한 컴퓨터는 몇 대뿐일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독자 여러분이 지금 이 글을 스크린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도 변치 않는 장치, 즉 종이책으로 읽고 있다는 사실도 '디지털 혁명'을 운운하던 석학들의 코를 납작하게 하고 있다. 독자 여러분이 지금 이 글을 에스페란토어가 아니라, 원시적이고 엉망이며 일관성 없는 영어, 프랑스어, 혹은 스와힐리어로 읽고 있다는 사실은 50년 전에 풍미했던 예측에 한 .. 2022. 5. 8.
규칙성이라는 허구적 보상원칙 (블랙스완) 가령 우리가 예브게니아처럼 검은 백조의 돌연한 출현으로 인생 역전을 하게 된다고 하자. 말하자면 우리는 칠면조의 반대 운명이 된다. 지적, 과학적, 예술적 활동은 극단의 왕국에 속하기 때문에 성공의 기회가 극소수에게만 쏠리며 이 극소수의 승자가 꿀단지 속에 든 꿀 대부분을 차지한다. 내가 보기에 재미있고 '흥미 만점'이라고 느껴지는 전문적 직업의 세계는 모두 이 원리가 지배한다(이 반대의 경우, 즉 평범의 왕국에 속하지만 흥미가 있는 직업이 있을지는 나도 궁금하다). 성공이 한쪽에만 집중될 때의 효과를 염두에 두고 행동하는 것은 두 배의 대가를 치르게 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규칙성이라는 허구적 보상 원칙이 지배하고 있다. 우리의 호르몬 체계 역시 손에 잡히는 결과물이 야금야금 늘어나는 보상 방식을 원.. 2022. 4. 3.
검은 백조가 출몰할 기회를 최대한 늘려라 (블랙스완) 검은 백조에 지배되는 환경에서 우리는 예측 능력이 없는데다가 예측 능력이 없다는 사실도 대체로 모르고 있다. 그리하여 스스로 전문가라고 자부하는 사람들도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실제 드러난 예측 능력을 보면 그들은 경험적 기록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위 전문 분야에서도 결코 일반 대중보다 더 많이, 더 깊이 알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들이 일반인보다 나은 점은 그럴싸한 이야기를 지어내는 능력, 더 심각하게는 복잡한 수학 모델로 보통 사람들을 주눅 들게 만다는 능력,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정장 차림을 좋아한다는 것 뿐이다. 검은 백조 현상은 예측 불가능성이 특징이므로 우리는 (순진하게도 그것을 예측하겠다고 노력하기보다) 그 미지의 가능성에 고분고분 순응하는 편이 옳다. 반(反)지식, 즉 우리가 모르는 것.. 2022. 4. 2.
반응형